티스토리 뷰

7급 국가직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1차, 2차, 3차를 단계별로 합격해야 됩니다. 2021년 7월 이전에는 psat 시험제도가 없었지만, 2021년 7월부터 1차 시험으로 psat이 처음 도입되고, 시험 이후 예상치 못한 난이도와 변수로 약간의 혼선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피셋을 준비하기 이전에 psat이란 무엇인지,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오는지, 난이도 및 합격 커트라인은 어떻게 되는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sat이란

퍼즐 사진뇌가 활성화 되어있는 사진

피셋이란 공직적격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공의 일을 하는 직업의 자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도입된 시험인데요, 원래는 2004년부터 외무고시에서 시작되어 2005년에는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행정고시에 도입되었습니다. 점점 시험의 영역이 넓혀져 2021년부터는 7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에도 도입이 되었는데요, 7급 국가직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 psat이라는 1차 관문에 통과되어야 2차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7급 국가직 공무원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1차, 2차, 3차 시험에 모두 통과하여야 됩니다. 1차에서는 psat을, 2차에서는 7과목(직렬에 따라 과목 상이), 3차는 면접이 있습니다. 단, 2차에서 영어는 공인 영어시험. 예를 들면 토익과 지텔프로 대체되며 한국사의 경우에는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으로 대체되었습니다. 

 

2021년 기준 1차 psat에서는 7배수를 뽑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채용인원이 100명이라면 psat에서는 700명을 합격시킨 것입니다. psat에서 합격한 인원들이 2차 시험을 치르며, 2차에서는 채용인원 대비 1.5 배수를 뽑는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100명을 채용한다고 가정하면 150명을 합격시킵니다.  

 

psat 문제유형

책을 밟고 앉아있는 사진이 악물고 공부하는 여성 사진볼펜을 입에 물고 공부하는 여성 사진

psat은 언어논리, 자료해석, 상황판단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psat은 지식보다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일반 자격증 또는 공무원 시험의 객관식 문제와는 살짝 결이 다르며, 수능과 결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언어논리영역 25문항 / 60분 100점 만점
자료해석영역 25문항 / 60분 100점 만점
상황판단영역 25문항 / 60분 100점 만점
  총 75문항 / 180분 300점 / 3 = 100점 만점(평균)

 

60분의 25문제면 약 한 문제를 풀 때 대략 2분 30초 안에 풀어야 된다는 것인데, 사고력을 요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시간의 압박감이 크다고 합니다. 그럼 각각의 영역에 대해서 시험의 뉘앙스를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어논리 영역

문제 지문 예시

  • 다음 글에서 주장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없는 내용은?
  • 다음 글을 가장 잘 요약한 것은?
  •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블라블라 써놓은 보기를 읽고 글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 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평가하는데요, 지문은 정치, 사회, 과학, 기술, 예슬 등 다방면에 대해 출제되기 때문에 배경지식을 잘 아는 문제라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평소에 책을 많이 읽으시는 분들에게 유리하다고 합니다.

 

다만, 첫 psat에서 언어논리 영역이 가장 어려웠다는 의견이 많았기 때문에 피셋을 준비하는 분이라면 고난도에 문제에 대해서 어느 정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료해석 영역

문제 지문 예시

  • oo에 대한 자료이다. 이를 해석한 것으로 옳은 것은?
  • oo를 실시한 결과이다. 이에 대한 <보고서>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oo에 대한 조사한 자료이다.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블라블라 써놓은 각종 자료에 대해 해석하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어려운 수학적 계산이 요구되진 않지만, 표준편차, 연립방정식 등 수학적 능력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또한 사칙연산을 빠르게 하는 게 중요한데 문제에서 283x2589 이런 식의 지저분한 계산 문제가 가끔 나온다고 합니다. 

 

상황판단

문제 지문 예시

  • oo 법에 내용에 근거하여 추론할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아래 규정에 의해 판단할 때, 다음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다음 글을 근거로 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블라블라 써놓은 각종 보기에 대해서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서 논하기 때문에 언어논리와 자료해석의 중간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 법조문이 적혀 있고 사례에 적용하는 문제, 보기에 따라 결과를 도출하는 계산형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아무리 똑똑하더라도 공부하지 않으면 원하는 점수가 나오기 힘든 시험이며, 사람마다 지적 수준이 다 다르기 때문에 누구에게는 쉬울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psat 문제를 체감해 보는 게 중요한데요, 가까운 서점에 방문해서 문제 유형을 빠르게 훑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년 psat 난이도 및 합격 커트라인

일반직 공무원 행정직군 행정직렬 psat 커트라인

일반직공무원 피셋 커트라인 표

 

일반직공무원 행정직군 특수직렬 psat 커트라인

일반직공무원 특수직렬 피셋 커트라인 표

일반직공무원 기술직군 psat 커트라인

기술직군 피셋 커트라인 표

외무영사직렬 psat 커트라인

외무영사직 피셋 커트라인 표

난이도는 5급이 치르는 피셋의 난이도로 출제되어 난이도가 꽤 높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psat 도입으로 인하여 첫 시험을 본 사람들에게는 멘붕에 빠지게 하는 난이도였다고 하는데요, 2차 시험이 핵심이지만,  psat도 결코 만만하게 설렁설렁 공부해서는 안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시행된 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합격 커트라인만으로는 합격대 점수를 예측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로 5급과 달리 평락(60점 이하면 탈락)이 없으므로 반드시 60점을 맞아야 합격하는 것은 아닙니다.

 

결론은 합격 커트라인으로 대충 점수 맞춰서 합격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충실하게 psat을 대비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